이창동 감독의 '버닝'(2018)은 겉보기에는 단순한 실종 미스터리처럼 보이지만, 그 이면에는 한국 사회의 불안, 젊은 세대의 고독, 계층 간의 단절 등 복잡한 주제를 복합적으로 담고 있는 작품이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단편소설 『헛간을 태우다』를 원작으로 삼았지만, 이창동은 이를 완전히 자신만의 방식으로 재창조했다. 젊은 남성 종수의 시선을 따라 전개되는 이야기는 점점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넘나들며, 관객을 혼란과 긴장 속으로 이끈다. '버닝'은 단순한 사건의 진실을 밝히는 추적극이 아니라, 한 개인의 내면을 투영한 한국 사회의 자화상이자 심리극이며, 관객 각자가 스스로 질문을 만들어내야 하는 해석의 여지를 풍부하게 제공하는 작품이다.
보이지 않는 분노와 침묵의 세대: 종수의 시선을 통해 본 한국 청년의 초상
이야기는 시골에서 혼자 살아가는 청년 종수(유아인)가 오래전 이웃이었던 해미(전종서)를 우연히 재회하며 시작된다. 해미는 아프리카 여행을 다녀온 뒤 수수께끼 같은 남자 벤(스티븐 연)을 소개하고, 셋은 기묘한 삼각관계를 형성한다. 하지만 해미가 갑작스레 종적을 감추면서, 영화는 서서히 스릴러의 형식을 취한다. 그러나 이창동 감독은 해미의 실종에 대한 진실을 밝히기보다, 종수의 심리를 따라 그가 경험하는 현실에 집중한다.
종수는 사회적 계층의 경계선상에 선 인물이다. 작가를 꿈꾸지만 글은 써지지 않고, 일용직으로 생계를 유지하며, 가족의 문제까지 짊어진 그에게 세상은 무심하고 차갑다. 특히 벤과의 대비는 이러한 불균형을 극명하게 드러낸다. 외제차를 타고 강남 고급 아파트에 살며 여유롭게 살아가는 벤은 자신이 어떤 일을 하는지조차 밝히지 않지만, 종수는 그의 존재만으로도 위축된다. 이들의 겉으로는 평화로운 교류는 실은 격차와 긴장으로 가득 차 있으며, 종수의 내면에는 설명할 수 없는 불안과 분노가 서서히 쌓여간다.
해미가 사라진 후 종수는 벤이 그녀를 해쳤을 것이라는 의심에 사로잡히고, 점점 이성의 경계를 허물며 집요하게 그를 추적한다. 하지만 그가 마주치는 현실은 침묵으로 가득 차 있고, 확실한 증거나 명확한 진실은 존재하지 않는다. 결국 영화가 보여주는 것은, 증명되지 않은 범죄보다 더 무서운 현실의 무관심과 침묵이다. 종수는 분노하지만 그 분노를 드러낼 방법이 없고, 사회는 그의 외침을 들으려 하지 않는다. 이창동은 종수라는 인물을 통해 2010년대 한국 청년 세대가 처한 사회적 고립과 감정의 억압을 섬세하게 포착해낸다.
'버닝'이라는 은유: 상징과 해석의 다층 구조
이창동 감독의 영화는 늘 그랬듯, 명확한 해답을 주지 않는다. '버닝' 역시 마찬가지다. 제목에서부터 등장하는 '태우는 것'이라는 행위는 단순한 물리적 사건이 아니라, 인간 내면의 감정, 특히 억눌린 욕망과 분노의 은유로 작동한다. 벤이 아무렇지 않게 말하는 "비닐하우스를 태운다"는 행위는 곧 사람들의 관심에서 잊힌 존재, 즉 사회의 가장자리로 밀려난 이들을 상징한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벤은 영화 내내 의뭉스러운 인물로 묘사된다. 그는 언제나 웃고 있지만, 그 웃음은 감정을 읽을 수 없게 만들며, 차가운 거리감을 형성한다. 해미와의 관계도 불투명하며, 그의 집에는 정체불명의 여성 장신구들이 놓여 있다. 하지만 이 모든 것들이 실체인지, 종수의 의심이 만든 환상인지 영화는 분명히 밝히지 않는다. 관객은 종수의 시선을 공유하면서도, 그가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 화자인지를 끊임없이 의심하게 된다.
이와 같은 다층적 구성은 영화에 강한 해석의 여지를 부여한다. 해미는 정말로 사라졌는가? 벤은 그녀를 죽였는가? 종수는 그를 처단함으로써 정의를 실현했는가, 아니면 또 다른 파국을 만든 것인가? 영화는 이 질문들에 대해 침묵으로 일관하지만, 바로 그 침묵이 영화의 본질이다. 관객은 각자의 경험과 감정에 따라 다른 결론을 내릴 수밖에 없으며, '버닝'은 그 해석의 다양성 속에서 진정한 의미를 찾게 된다.
또한, 영화 곳곳에 배치된 상징들은 이 해석의 가능성을 더욱 풍부하게 만든다. 고양이 '보일', 아프리카의 춤, 해미가 말하는 '작은 굶주림'과 '큰 굶주림', 해 질 무렵의 오렌지빛 하늘은 모두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흐리는 장치들이다. 이창동 감독은 이러한 요소들을 통해 인간의 무의식과 감정을 시적으로 표현하며, 영화적 체험을 하나의 철학적 성찰로 확장시킨다.
이창동 감독의 시선: 현실을 직시하는 시적 리얼리즘
이창동은 '버닝'에서도 여전히 현실을 응시한다. 그러나 그의 방식은 다르다. 그는 직접적으로 사회문제를 언급하기보다, 그 문제들이 개인의 삶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감정을 왜곡시키는지를 보여준다. 이창동 감독 특유의 '시적 리얼리즘'은 바로 이러한 점에서 빛난다. 말로는 설명할 수 없는 감정의 결, 현실을 마주할 때의 불안과 낯섦, 그리고 그로 인해 발생하는 심리적 분열을 그는 놀랍도록 섬세하게 포착한다.
'버닝'은 이야기의 흐름보다는 분위기와 정서의 흐름을 따라간다. 그 정서는 한국 사회를 둘러싼 현실의 공기를 담고 있다. 청년층의 고용 불안, 계층 격차, 사회적 무관심, 타인에 대한 냉소, 사랑과 우정의 파편화된 감정들이 영화 전반에 흐른다. 특히 도시와 농촌의 대비, 해미의 작은 원룸과 벤의 넓고 정돈된 아파트 사이의 간극은 단순한 공간의 차이를 넘어 계급의 상징으로 읽힌다.
배우들의 연기도 그 정서에 큰 몫을 한다. 유아인은 종수의 불안정한 심리를 섬세하게 그려내며, 관객을 그의 내면으로 끌어들인다. 전종서는 해미의 불안정한 자아를 매혹적으로 표현하고, 스티븐 연은 친절하면서도 알 수 없는 불쾌감을 남기는 벤을 인상적으로 그려낸다. 세 배우의 조합은 영화의 긴장과 미스터리를 유지하면서도 감정의 복잡성을 풍성하게 만든다.
또한 촬영과 음악 역시 이창동의 영화 세계를 뒷받침한다. 홍경표 촬영감독은 한국의 일상적 공간을 낯설게 재현하며, 현실 속의 환상을 포착한다. 해 질 무렵의 햇살, 먼지 낀 창문, 어두운 시골길 등은 모두 종수의 내면을 투영하는 공간으로 변모하며, 영화의 정서를 강화시킨다. 음악은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그 침묵 속에서 인물의 감정이 더 명확히 드러난다. 이창동은 침묵과 여백의 미학을 통해, 관객이 스스로 생각하고 느끼게 만든다.